[Summary]

  1. k-core sequence를 만족하는 graph 존재성의 필요 충분 조건을 발견 (2.5)
  2.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, 이와 동일한 core sequence를 가지도록 하는 G’를 construct하는 몇 가지 move를 발견 (deletion, addition 등)
  3. 동일한 k-core sequence를 가지는 그래프들을 각 state S로 정의, 이로부터 만들어낸 그래프 H가 연결 그래프임을 보임
  4. 여러 실험을 통해, real data와 null model 간의 통계량이 상이함을 보임.
    1. edge는 최대 두 배 차이 날 수 있음
    2. motif 분포 상이함
    3. degree sequence는 상대적으로 비슷함 (core sequence와 상관관계)
    4. assortativity(같은 특성을 지닌 노드 두 개가 edge로 연결될 경향성)
      1. gender assortivity의 경우, core-value null model 에서는 insignificant 하지만, configuration model null의 경우, significant 해 보임